국토현황
관리자
0 6,033 21-03-10 12:42
0 6,033 21-03-10 12:42
본문
국토의 현황
- 가. 자연환경
- 아시아대륙 동북단에 위치한 반도로서 중국, 러시아, 일본과 접하는 동북아 교류의 요충지이자 환태평양 진출의 거점
- 한반도의 위치
- 최북단 : 함북 온성군 유포진
- 최남단 : 제주 남제주군 마라도
- 최서단 : 평북 용천군 마안도
- 최동단 : 경북 울릉군 독도
- 한반도 길이 : 약 1,000㎞
- 한반도 면적 : 22.3만㎢
- 남한 : 99,601㎢ (총면적의 44.7%)
- 북한 : 123,390㎢ (총면적의 55.3%)
- 관할해역 면적(남한) : 44.3만㎢ (EEZ 포함)
- 3,200여개의 도서 (한반도 전체)
- 연간강수량 : 500㎜~1,500㎜
- 남한 : 평균 1,283㎜
- 북한 : 평균 1,000㎜ 이하
※ 국민 1인당 연강수량은 2,705㎥
- 국토의 65.3%가 산지이며 백두대간이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도시적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토지가 제한되어 있음
- 자연조건은 고온다습한 여름에 강수가 집중되어 용수의 안정적인 확보가 어렵고 가뭄 및 풍수해 등의 자연재해에 취약함
- 천연자원은 매장량이 부족하여 대부분 외국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나 3면이 바다에 면하여 해양 이용 의 잠재력이 큼
- 나. 인구와 경제
- 좁은 국토에 많은 인구가 거주하여 고밀사회를 이루었으나 최근 출산율의 저하로 인구성장이 둔화되고 고령화 현상이 급속히 진전
- 2003년 말 현재의 인구는 4,882만 명(주민등록인구 기준)으로서 인구밀도가 490인/㎢로 세계 최상위 수준의 고밀도국가
- 출산율은 1970년 4.53에서 2003년 1.19로 감소하였으며, 인구증가율도 크게 감소
- 평균수명이 1971년 62.3세에서 2002년 77.0세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, 2003년 65세 이상의 노령인구 비중은 8.3%를 차지
- 인구의 도시 집중이 지속되어 도시화율은 1970년 49.8%에서 2003년 89.0%에 달함
- 2003년 한민족 인구
- 남한: 4,882만 명 - 북한: 2,247만 명 - 해외동포: 634만 명
- 2003년 현재 국내총생산은 6,080억 달러, 1인당 국민총소득은 12,720 달러, 수출총액은 1,938억 달러임
- 산업별 국내총생산 비율은 1차산업 3.6%, 2차산업 26.9%, 3차산업 69.5%로 구성되어 서비스업 비중이 매우 큼
- 경제활동인구는 2,292만 명이며, 취업인구 구조는 1차산업 7.1%, 2차산업 19.4%, 3차 산업 73.5%로 서비스업의 비중이 절대적임
- 【표 1】 주요 경제ㆍ사회지표 (2003년)
주: 1) 주민등록인구 기준지 표 규 모 세 계 순 위 인 구1)4,882만 명26국민총소득(GNI)5,764억 달러111인당 국민소득12,030 달러50수 출1,938억 달러12세계 500대 기업2)11 개10서비스 교역703억 달러14
2) 2004년 기준 자료: 산업자원부, 2005
- 좁은 국토에 많은 인구가 거주하여 고밀사회를 이루었으나 최근 출산율의 저하로 인구성장이 둔화되고 고령화 현상이 급속히 진전
- 다. 국토이용
- 용도지역 지정 현황(2003년)은 도시지역 15.8%, 관리지역 24.6%, 농림지역 48.1%, 자연환경보전지역 11.5%로 구성되어 있음
-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(2003년)은 임야가 전국토 면적의 65.2%, 농지는 21.5%, 대지, 공장용지 및 공공용지 등 도시적 용지는 5.9%(1인당 36.4평)를 차지하고 있음
- 우리나라의 도시적 용지 비율은 영국 13.0%(1인당 161평), 일본 7.0%(1인당 65평)와 비교해서 낮은 수준임
- 【표 1】 주요 경제ㆍ사회지표 (2003년) (단위: ㎢, %)
자료: 건설교통부, 2004구 분 1984년 1990년 2000년 2003년 전 국99,117(100)99,274(100.0)99,461(100.0)99,601(100.0)도시적 용지
ㆍ대 지
ㆍ공장용지
ㆍ공공용지3,784(3.8)
1,791(1.8)
152(0.2)
1,841(1.9)4,763(4.8)
1,937(2.0)
246(0.2)
2,112(2.1)5,372(5.4)
2,349(2.4)
514(0.5)
2,636(2.6)5,863(5.9)
2,460(2.5)
580(0.6)
2,823(2.8)농 지21,921(22.1)21,855(22.0)21,043(21.1)21,379(21.5)임 야65,910(66.5)65,571(66.0)65,139(65.5)64,948(65.2)기타 토지7,502(7.6)7,085(7.1)7,907(7.9)7,411(7.4)
- 라. 국토기반시설
- 고속도로, 고속철도, 국가정보통신망, 상하수도 등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경제발전 및 국민생활을 뒷받침
- 2004년 경부고속철도 제1단계가 개통되고, 전국을 잇는 고속도로망의 건설을 통해 전국토가 반나절생활권으로 통합되어 국가경제 발전과 편리한 국민생활을 지원
- 정보통신망과 관련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종합적인 국가 정보화수준 비교에서 세계 7위(2003년)를 기록하는 등 세계적인 정보통신기술(IT)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음
- 인천국제공항의 확장, 부산신항과 광양항 건설 등 국제공항 및 국제항만 인프라의 지속적 확충으로 동북아 물류중심국가 실현을 촉진
- 표 3】 국토기반시설 현황 (2003년)
주: 고속철도 연장은 2004년 현재ㆍ 고속도로 연장 : 2,778㎞
ㆍ 철도 영업연장 : 3,140㎞
ㆍ 고속철도 연장 : 224㎞
ㆍ 상수도 보급률 : 89.4%
ㆍ 하수도 보급률 : 78.8%ㆍ인터넷 이용자 : 2,922만 명
ㆍ초고속인터넷 가입자 : 1,118만 명
ㆍ시내전화 가입자수 : 2,288만 명
ㆍ이동전화 가입자수 : 3,359만 명
- 고속도로, 고속철도, 국가정보통신망, 상하수도 등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경제발전 및 국민생활을 뒷받침
국토의 현황
- 가. 인구증가의 둔화와 완만한 경제성장
- 인구증가율이 점차 둔화되어 2020년 4,996만 명 수준까지 도달한 후(2003년에서 2020년 사이 210만 명 증가) 점차 감소할 전망
- 2003년 현재 인구증가율은 0.49%이나 2020년에 0.01%까지 하락한 후 절대인구치가 감소할 전망
- 【표 4】 인구 전망 (단위: 천명, %)
자료: 통계청, 2005연 도 1970 1990 2005 2020 2030 인 구32,24142,86948,29449,95649,329인구증가율2.210.990.440.01-0.28
- 출산율 저하 및 지속적인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구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2018 년에는 고령사회로 접어든 후, 2026년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전망
- 평균수명은 2005년 77.9세에서 2030년 81.9세, 2050년 83.3세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
※ 65세 이상 인구비율 기준으로 고령화사회는 7% 이상, 고령사회는 14% 이상, 초고령사회는 20% 이상임.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까지 소요되는 연수 : 프랑스 115년, 미국 71년, 캐나다 65년, 스위스 52년, 영국 47년, 일본 24년
- 평균수명은 2005년 77.9세에서 2030년 81.9세, 2050년 83.3세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
- 도시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여 도시화율이 2020년 95% 수준에 도달할 전망
- 국민경제는 연평균 5% 내외의 경제성장을 이루어 2020년 1인당 국민총소득이 27,000~35,000달러 수준에 이를 전망
구 분 단 위 2003 2020 비 고 ⊙ 인구
- 연평균 성장률
- 65세 이상 인구비율
- 경제활동인구천 명
%
%
천 명47,849
0.49
8.3
34,30049,956
0.01
15.7
35,838연평균증가율 0.25%⊙ 도시인구
- 도시화율천 명
%42,586
89.047,458
95.0⊙ 국민총소득
- 1인당 국민총소득억 달러
달러5,764
12,03013,500~17,500
27,000~35,000경제성장률 4.9~6.4%
- 인구증가율이 점차 둔화되어 2020년 4,996만 명 수준까지 도달한 후(2003년에서 2020년 사이 210만 명 증가) 점차 감소할 전망
- 나. 지방화 시대의 정착과 지역발전의 기회 확대
- 지속적인 지방 분권 및 지방 분산정책의 효과가 나타나 지역의 자립적 발전 여건이 대폭 개선될 전망
- 국가 권한의 지방 이양 등 적극적인 분권이 이루어져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수평적 관계 정립과 지자체 간 협력체계의 구축이 중요해질 것임
-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과 공공기관 지방 이전 등 중추기능의 분산에 따라 지방에 지역발전의 새로운 기회가 나타날 것임
- 지방의 권한 확대와 세계시장질서 속에서의 역할 증대로 창의적ㆍ자립적 발전 기회가 확대될 전망
- 지방을 기술혁신과 경제활동의 중심지로 육성하고 이를 토대로 해외 지역과의 경쟁 여건을 강화할 필요성이 증대
- 지속적인 지방 분권 및 지방 분산정책의 효과가 나타나 지역의 자립적 발전 여건이 대폭 개선될 전망
- 다. 국경없는 세계경제질서의 확대와 혁신환경의 중요성 증대
- 지역경제공동체, 자유무역협정, 도하개발아젠다 등에 따라 국경을 초월하는 세계경제체제가 형성될 전망
- 국토의 대외경쟁력 강화 전략과 국제적 협력 및 연대 강화를 위한 국토기반 조성이 더욱 중요해질 것임
- 중국 등 동북아 지역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교류 확대에 대응하는 거시적 국가경영 전략의 중요성이 증대될 전망
- 동아시아 지역이 세계 최대의 경제권으로 부상함에 따라 역내 교역의 급격한 증대가 예상되므로, 이를 뒷받침할 국토 여건의 형성이 시급한 과제가 될 것임
- 세계적으로 국가 및 지역의 성장이 요소 투입에 의존하는 성장 구조에서 지식 및 혁신 기반 성장 구조로 변화하여, 지속적인 노력 없이는 국제경쟁에서 도태되는 시대가 도래할 전망
- 기존의 외형중심 성장 전략에서 탈피하여 혁신주도형 성장 전략을 지원하는 국토이용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
- 산업활동 중심지가 생산 중심의 산업단지에서 산업클러스터로 전환될 전망
- 지역경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하고, 학습과 혁신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질 것임
- 지역경제공동체, 자유무역협정, 도하개발아젠다 등에 따라 국경을 초월하는 세계경제체제가 형성될 전망
- 라. 삶의 질에 대한 요구 증대
- 고속철도 수혜 지역의 확대, 여가시간 확대, 정보화 진전 등으로 국민의 시간 및 공간이용 패턴이 근본적으로 변화할 전망
- 고속철도 수혜 지역의 확대, 여가시간 확대, 정보화 진전 등으로 국민의 시간 및 공간이용 패턴이 근본적으로 변화할 전망
-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와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 향상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새로운 국토개발 수요가 등장할 전망
- 고령화의 진전 및 학령인구의 감소에 대응하는 도시기반시설의 정비가 필요하며, 노령인구를 위한 정주 및 여가시설의 공급이 필요해질 것임
- 장애인 전용 교통시설 및 탑승시설 등 사회적 약자의 이용 편의성을 고려한 각종 도시기반시설의 공급이 증대될 것임
- 다양한 주택 유형이 선호되고 시민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도시 및 국토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대될 전망
- 환경친화적인 저층ㆍ중저밀도 주택 건설의 확대와 안전하고 쾌적한 녹색교통체계 구축 및 도시시설 정비가 중요해질 것임
- 고속철도 수혜 지역의 확대, 여가시간 확대, 정보화 진전 등으로 국민의 시간 및 공간이용 패턴이 근본적으로 변화할 전망
- 마. 지구 환경문제와 에너지ㆍ자원 위기의 도래
-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와 빈번한 자연재해, 황사 현상의 심화 및 오존층 파괴 등 국제환경문제가 세계적 관심사로 대두될 전망
- 지구적 환경문제와 각종 자연재해, 도시재난 등에 대비하여 국민생활의 안전성 확보 요구가 증가할 것임
- 교토의정서 등 국제환경협약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국토이용 및 산업정책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될 것임
-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, 수려한 경관 등 쾌적한 환경에 대한 욕구가 더욱 증가할 전망
- 자연생태계의 보전, 국토환경문제에 대한 체계적 대응, 국토의 지속가능성 증대 등이 더욱 중요해질 것임
- 화석연료 등 자원 공급이 한계에 봉착하여 에너지와 천연자원의 가격이 급등할 전망
- 에너지ㆍ자원의 수요관리 및 운영 효율화, 재생에너지 개발과 함께 이에 적합한 자원절약형 국토구조를 갖추는 것이 시급해질 것임
-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와 빈번한 자연재해, 황사 현상의 심화 및 오존층 파괴 등 국제환경문제가 세계적 관심사로 대두될 전망
- 바. 남북교류의 확대와 통일시대의 도래
- 남북관계가 더욱 긴밀해져 남북교류와 협력이 접경지역 및 북한 내륙지역에서 활발히 전개되는 시대가 도래할 전망
- 남북간 육상ㆍ해상 교류, 항공수단을 통한 교류가 가속화되고 개성, 나진ㆍ선봉 등 북한내 특구를 중심으로 경제협력이 활발히 전개될 것임
- 남북한이 동북아 및 세계경제 속에서의 상호이익을 위해 서로 협력하여 국토를 개발ㆍ활용할 필요성이 증대될 전망
- 남북한이 협력하여 동북아 차원의 국토경영 전략을 마련하고 북한 개방거점 및 대륙연결 인프라를 공동개발할 필요성이 커질 것임
- 남북관계가 더욱 긴밀해져 남북교류와 협력이 접경지역 및 북한 내륙지역에서 활발히 전개되는 시대가 도래할 전망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